출생신고서 열람 발급 방법에 대해 상세히 공유해 드립니다.
요즘 부모님이 자필로 작성하신 출생신고서를 기념으로 보관하기 위해, 출생신고서 발급이 유행처럼 자리 잡았는데요. 이 서류는 만 30세까지만 발급할 수 있어 기간과 방법을 확인이 중요합니다.
이 서류에서는 출생 시간, 몸무게, 담당 의사 선생님 등 생각보다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는데, 만 나이 30세가 지나면 폐기되어 영원히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Contents
출생신고서 온라인 열람
요즘 인터넷이 발달해서 모든 것을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발급할 수 있는 시대이지만, 유일하게 온라인 발급이 불가능한 서류가 바로 이 출생신고서 입니다.
구비 서류를 가지고 직접 방문하여야만 발급할 수 있습니다.
출생신고서 열람 제한, 폐기
출생신고서는 만 30세까지 발급 가능하고, 그 이후에는 폐기됩니다.
원본은 받을 수 없고, 복사본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년도 | 발급 가능 생년 |
---|---|
2024 | ~1994년 생 |
2025 | ~1995년 생 |
2026 | ~1996년 생 |
출생신고서 열람 구비 서류
출생신고서 발급을 위해 구비해야 하는 것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신분증
본인 신분증을 꼭 지참하여야 합니다.
기본 증명서
본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기본 증명서를 발급하여, 지참해야 합니다.
기본 증명서 발급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한민국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에 접속합니다. (링크)
- 증명서 발급> 기본 증명서 탭으로 이동합니다.

- 가족관계등록부 신청인 정보 조회 내용을 작성하고 본인 인증합니다.

- 아래와 같이 선택하고 가족관계등록부를 최종 신청하여 출력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상세증명서 그리고 주민등록번호 뒷부분 6자리를 전부 공개로 설정하고 신청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 관할법원 찾기 위한 등록기준지를 확인해두세요.
출생신고서 열람 관할법원 찾기
이제 구비 서류가 준비되었으니, 내 출생신고서가 있는 관할법원을 확인하고 방문하여야 합니다. 관할법원은 아래의 방법을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 대한민국 법원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링크)

- 각급법원> 관할법원 찾기 탭으로 이동하여, 기본 증명서에서 확인해 둔 등록기준지 주소로 검색하여 관할 법원을 확인합니다. 출생신고서 발급이 목적이므로, [가사]로 선택 합니다.

아래쪽에 관할 법원이 표시되면 해당 법원으로 방문해주시면 됩니다.
맺음말
만 30세까지로 제한되는 부모님께서 자필로 작성하신 출생신고서 열람 발급 방법에 대해 공유해 드렸습니다.
필자는 아쉽지만 이 정보를 늦게 알아 폐기 기한이 훌쩍 넘어버려 발급받을 수가 없는 상황이라, 정말 아쉽네요. 여러분은 꼭 기한 전에 발급받아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