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쌀, 쌀은 우리나라의 주식이고 많은 대다수의 사람이 즐겨 먹고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곡물입니다.
우리가 아는 쌀은 벼 열매를 벗겨낸 알갱이입니다. 벼의 도정 과정에 따라 쌀, 현미로 나누어 생산됩니다.
탈각해서 나온 낟알을 현미라고 하고, 이러한 현미를 정백 과정을 하면 우리가 아는 백미가 됩니다.
쌀은 세계 3대 작물로 아시아권에서 많은 경작을 하고 있으며, 높은 열대 지역에서 잘 자라지만 물이 잘 공급되는 지역에서 폭넓게 재배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종류의 쌀은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주로 많이 소비하고 길게 생긴 쌀은 동남아시아와 같은 기온이 높고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 주로 소비됩니다.
- 아래의 사진은 벼가 쌀이 되는 과정 순으로 사진을 준비했습니다.
쌀은 도정 정도에 따라 명명
겉 표피를 벗겨낸 것이 현미입니다. 3분도미(종피30% 제거), 5분도미(종피50% 제거), 7분도미(종피70% 제거), 백미로 총 5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쌀 효능
- 콜레스테롤 조절
쌀(백미, 현미)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체내에 축적되는 지방을 억제하고, 자주 섭취하게 되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농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동일 효능 음식: 당근, 꽃게, 토마토
- 혈당 조절
사람의 인슐린 분비를 높이며, 당뇨의 위험을 줄이는 성분이 탄수화물입니다. 쌀의 탄수화물은 식빵, 찐 감자, 밀가루 성분의 식품보다 비만과 혈당 상승 예방에 효과가 더 좋습니다.
동일 효능 음식: 유자, 매생이, 녹차
- 항산화 기능
쌀에는 항산화 성분인 토코페롤(비타민E)과 토코트리에놀 등이 있어, 세포가 산화 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막아 노화 방지에 좋습니다. 그리고 토코페롤(비타민E)는 혈중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동맥경화 예방과 암 발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동일 효능 음식: 파인애플, 바나나, 석류
- 성인병 예방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이 쌀에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이런 성분이 중성지방을 체외로 배출하는 것을 도와주어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동일 효능 음식: 굴, 과메기, 송이버섯
- 피로 회복
우리 몸에 비타민B가 부족하게 되면 발생하는 증상 중 하나가 만성피로 입니다. 쌀에는 비타민B가 풍부하여, 쌀을 섭취함으로써 만성피로를 없애는 데 도움을 줍니다.
동일 효능 음식: 물, 체리, 소고기
- 노화 방지
현미에는 비타민E와 오리자놀과 같은 항산화 작용을 하는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이런 성분들은 인체 생체막 손상을 억제하고 노화 방지에 좋습니다.
동일 효능 음식: 양배추, 부추, 미역
- 변비 예방
쌀은 밀가루에 비해 약 4배 정도 높은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섬유질은 중성지방을 흡착하고 장 내의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하는데 좋습니다.
동일 효능 음식: 사과, 팥, 딸기
- 피부미용
쌀뜨물에 세안하면 미백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이유는 비타민E와 오리자놀 성분이 몸의 독소를 배출하고, 여드름이나 피부 염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동일 효능 음식: 장어, 녹차, 아귀

쌀 단점
쌀은 현미와 백미로 단점을 나눌 수 있습니다.
현미
현미는 소화 능력이 떨어지는 분에게 소화 불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백미와 비교했을 때 수분 함량이 낮아서 몸속으로의 흡수율이 낮습니다. 그리고 몸속에서 영양 흡수를 못 하고 체외로 배출될 수 있습니다.
백미
현미를 먹을 때보다 금방 배고플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현미 대비 수분 함량이 높고 소화가 금방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영양이 현미 대비 낮습니다. 현미와 비교했을 때 쌀눈이 없어, 쌀눈에 들어 있는 식이섬유와 각종 비타민 무기질이 없기 때문입니다.
위장이 약한 분은 백미를 먹고, 소화력이 좋은 분은 현미를 추천합니다.

좋은 쌀 고르는 방법
쌀의 등급은 특, 상, 보통으로 크게 3가지로 구분됩니다.
좋은 쌀은 ①수분량, ②쌀의 부스러기, ③손상된 낟알, ④불투명도 ⑤병충해 ⑥이물질 등의 기준을 잡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모든 단계를 볼 수 있으면 좋으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등급과 도정 일자가 의무적으로 표기되어야 하니, 특등급의 쌀과 최근의 도정 일자가 표기되어 있는 쌀을 구매하시면 됩니다.
햅쌀과 묵은쌀의 차이
올해 생산된 쌀은 햅쌀, 전년도에 생산된 쌀은 묵은쌀이라고 부릅니다.

묵은쌀 활용 방법
묵은쌀 활용 방법은 세 가지 소개해드립니다.
첫 번째는 쫀득쫀득한 가래떡을 만들어 먹는 것입니다. 묵은쌀을 냉장 보관하다가 근처 방앗간에 가지고 갑니다. 그래서 맛있는 가래떡을 만들어서 달콤한 꿀에 찍어 먹거나, 매콤한 떡볶이를 만들어 드세요.
두 번째는 고소한 누룽지를 만들어 먹습니다. 먼저 묵은쌀로 밥을 지어 줍니다. 그리고 후라이팬에 넓게 펴서 약한 불에 오랫동안 은은하게 구워주면 맛있는 누룽지를 만들어 먹을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다시마, 식용유, 식초를 활용하여 밥을 지어주면 묵은내가 덜한 밥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시마는 2조각, 식용유는 한 스푼, 식초는 2방을 정도 넣어주시면 됩니다.

맺음말
쌀은 우리에게 아주 밀접한 음식입니다.
쌀은 도정 과정 정도에 따라 현미, 3분도미, 5분도미, 7분도미, 백미로 5가지로 불립니다.
우리가 가장 많이 먹는 종류는 현미와 백미입니다.
쌀은 피로 회복, 성인병 예방, 변비 예방, 피부 미용에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고, 단점은 현미는 소화가 잘 안되고 백미는 소화가 빨리되어 허기질 수 있습니다.
좋은 쌀을 고르는 방법은 최근 도정 일자와 특등급의 쌀을 고르시면 됩니다.
묵은쌀은 가래떡, 누룽지로 만들어 먹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식용유, 식초, 다시마를 활용하면 맛있는 밥을 지을 수도 있답니다.
+ 이런 부분이 궁금해요!
2 thoughts on “쌀 (현미,백미) 효능과 단점, 묵은쌀 활용 방법”